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성분등록
- 햇섭인증
- 식품제조업
- 햇썹
- 품목제조보고
- 햇썹인증
- 공장등록
- 품목제조보고방법
- 식품안전나라
- 식품제조가공업허가
- 품목보고
- 애견간식성분등록
- 소규모해썹
- 배합사료
- 소규모해썹인증
- 해썹
- 공장등록방법
- haccp
- 해썹인증컨설팅
- 화장품책임판매업
- 사료성분등록
- 사료제조업
- 식품제조가공업
- 품목보고방법
- 식품제조가공업등록
- 햇섭
- 해썹인증절차
- 해썹인증
- 해썹컨설팅
- 품목제조보고서
- Today
- Total
행정사사무소내일
빵류(크림제조) 해썹인증 방법 및 절차 본문
빵류(크림제조) 해썹인증 방법 및 절차

안녕하세요, 내일행정사입니다.
현재 빵류와 과자류를 제조하는 한 업체의 해썹서류수정을 도와드리고있는데요.
그런김에(?) 오늘은 빵류 해썹인증에 대해 요것저것...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

빵류는 해썹인증의무대상입니다.
빵류는 우리가 흔이 아는.. 빵집에서 판매하는 빵들! 고런것들이 빵류인데요.
밀가루 또는 기타 곡분, 설탕, 유지, 달걀 등을 주 원료로해 이를 발효시키거나
또는 발효 없이 반죽한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빵집에서 만나는 이미 구워진 것들 뿐만 아니라
집에서 직접 소비자가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나오는 생지의 경우도 여기에 속합니다.

먼저! 빵류 해썹을 받기 위해서는 식품제조가공업 허가를 받아야합니다.
허가를 위해서는 먼저 작업장을 구해야겠죠?
이때, 작업장은 식품제조가공업이 가능한 곳인지를 알아보는게 가장 먼저해주셔야하며 중요한 일입니다.
계약하고자하시는 작업장이 식품제조가공업이 가능한 곳일 경우,
이제 해썹에 맞는 시설공사를 진행하면 되는데요.
그냥 탈의실이랑 가공실, 포장실 이정도 구분하면 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모든 해썹인증을 받는 작업장이 천편일률적으로 같은 구획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각 업체에서 만드는 제품의 공정흐름에 따라 구획을하여 배치도가 완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공정흐름도를 세밀하고 명확하게 작성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공정흐름도는 배치도 뿐만 아니라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중요관리점을 설정하는데에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빠트리는 부분없이 잘 작성해야합니다.
요렇게.. 공정흐름도 등을 통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틀을 잡았다면..
본격적인 시설공사가 들어가고 공사가 마무리되면 설비를 들이고..
식품제조가공업 영업등록 신청서와 배치도, 위생교육수료증 등등의 필요서류를 갖춘 후,
관할청에 영업허가신청을 합니다.
업체에서 신청을 하면 담당공무원이 서류검토 후 현장실사를 나오고
문제가 없다면 영업등록증이 발급됩니다 :)

자..! 여기까지가 영업허가입니다.
영업허가가 완료되면 이제부터 해썹인증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먼저, 생산 및 판매할 제품에 대한 품목제조보고를 합니다.
품목제조보고가 완료되면, 자가품질검사를 진행하고...
중요관리점 설정에 대한 검증으로 유효성 평가 시험을 진행합니다.
유효성평가 결과가 적합하게 나오면 해썹기준서 등 서류를 작성,해썹인증 신청을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팁 나갑니다~
크림이 들어가는 빵류를 제조하신다면...
그런데 그 크림이 빵을 굽고 난 다음에 단순히 도포하는 용도라면,
크림이라는 부재료에서도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제어를 해주어야 합니다.
다시 해썹인증 절차로 돌아가면,
해썹인증 신청을 한 뒤에는 인증원에서 현장 방문 심사를 하는데요.
이게 또.. 신청을 넣는다고 바로 심사를 나오시는게 아니라, 한달정도 걸립니다.
고로 해썹인증을 염두해두고 계신다면, 기간을 넉넉하게 잡고 진행하셔야해요.
한달이면 되는거 아닌가~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현장 방문 심사에서는 서류가 잘 갖추어 졌는지,
중요관리점 등을 제조하는 제품에 따라 잘 설정하였는지,
위생과 관련한 기준들을 잘 세웠는지 등등을 확인합니다.
현장에서도 보완되어야할 부분이 없는지도 체크하구요.
현장심사 후에 그 자리에서 바로 적합, 부적합 판정이 나오는데요.
적합하면 1-2주 내에 해썹인증서를 받아보실 수 있고
부적합이 나오더라도 보완해야할 부분들을 쭉 적어서 주시기 때문에
다시 열심히 보완해서 재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물론, 해썹인증은 점수제이기 때문에 만점이 아닌이상,
적합이 나오더라도 몇가지 보완사항은 발생할 수 있어요.
이 또한 심사원분들이 보완사항을 서면으로 공유해주시기 때문에 제품 생산 전 보완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빵류 해썹인증 방법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식품제조가공업 허가부터 해썹인증까지 절차에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내일행정사사무소로 문의주세요 :)
'식품, 축산물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목제조보고 식품, 축산물 (즉석조리식품 및 포장육) (0) | 2023.03.14 |
---|---|
해썹인증 사례 _ 소규모해썹 컨설팅 , 시흥 과자류 HACCP인증 (0) | 2023.03.12 |
해썹인증, 해썹의무적용대상 냉동만두 해썹인증 절차 (0) | 2023.03.09 |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시설기준, 일반음식점(식품접객업)에서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신고하기 (0) | 2023.03.07 |
소규모해썹 해썹인증 해썹컨설팅 사례 _ 절임식품, 냉동수산물, 양념육 (0) | 2023.03.06 |